차별화 새바람, 승부수는 로컬!_이성훈 한국화랑협회장 인터뷰

◼︎ 『아트인컬처』 2025년 9월호

국내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 키아프 서울이 9월 3일부터 7일까지 코엑스 A&B홀에서 열린다. 20여 개국 화랑 175곳이 참가하는 행사의 주제는 ‘공진’. 예술의 회복력과 공명의 힘으로 지속 가능한 미술생태를 모색한다. 신진 갤러리를 위한 ‘플러스’ 섹션과 차세대 작가 지원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한일 수교 60주년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을 마련했다. /

키아프 서울 2025 전경

올해 키아프 서울에는 20여 개국 175개 갤러리가 참여한다. 작년과 비교하면 15%가 줄었고, 최근 5년간 가장 작은 규모다. 여기에는 외적 확장보다 ‘질적 내실’을 다지겠다는 새로운 기조가 작용했다. 이러한 전략 변화의 이유는 무엇이며, 페어에는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

Lee 팬데믹 이후 빠르게 성장했던 미술시장은 이제 조정과 성숙의 단계에 들어섰다. 컬렉터와 방문객의 시각도 한층 깊고 다양해졌다. 키아프 역시 이러한 흐름에 맞춰 전시 콘텐츠의 밀도와 큐레이션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심사를 강화해 실력 있는 갤러리와 작가 중심으로 참가 대상을 조정했고, 전시 기획력과 예술적 완성도를 평가 기준의 핵심으로 삼았다. 작년 부스의 운영 평가는 물론, 갤러리가 기존에 개최해 온 기획전도 주요 심사 요소다. 작가의 발굴, 육성 실적 없이 대관 위주로 운영하는 화랑은 심사 단계에서 배제했다. 전시 공간의 조화와 작품 배치의 완성도, 그리고 작가를 장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역량까지 면밀히 검토했다.

차별화 새바람, 승부수는 로컬!_이성훈 한국화랑협회장 인터뷰 더보기

REMATCH_키아프 & 프리즈 서울 2023 리뷰

◼︎ 『아트인컬처』 2023년 10월호

요시토모 나라 ⟨Hey! Ho! Let’s Go!⟩ 수집한 사인보드에 아크릴릭 160×171cm 2011_키아프 오페라갤러리 출품작.

미술계를 들썩였던 글로벌 아트페어 키아프 서울(이하 키아프)과 프리즈 서울(이하 프리즈)이 두 번째 동행을 마무리했다. 코엑스에서 9월 6일 개막한 두 행사는 키아프가 10일까지 닷새간, 프리즈가 9일까지 나흘간 일정을 진행했다. 키아프는 8만 명, 프리즈는 7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해 작년에 이어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특히 키아프는 작년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키아프와 프리즈의 동시 개최가 국내 미술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메기 역할을 할지, 생태계를 파괴하는 황소개구리가 될지 여전히 논란인 상황에서 방문객 증가는 유의미한 변화다. 행사 종료에 맞춰 매출액을 공개해 왔던 키아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입을 닫았다. 프리즈의 판매 규모는 아예 비공개가 원칙이다. 관계자들은 양쪽의 판매 성과 모두 작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살짝 밑돌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해 프리즈 매출액은 6,000억~8,000억 원대, 키아프는 그 10분의 1 정도로 추산된다.

REMATCH_키아프 & 프리즈 서울 2023 리뷰 더보기

국내 최고 마켓 아시아로, 세계로!_키아프 서울 2022

◼︎ 『아트인컬처』 2022년 8월호

2018년 키아프 전경

키아프는 한국화랑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국제 아트페어다. 한국 미술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아트씬과 교류해 미술시장을 활성화할 목표로 2002년 출범했다. 키아프 서울의 전신은 1996년 개최된 서울국제미술제다. 당시 한국은 외국 화랑의 국내 진출을 골자로 한 미술시장 전면 개방을 1년 앞두고 있었다. 이에 미술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대외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서울국제미술제가 선제적으로 마련됐다. 이후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을 맞아 키아프로 행사를 확장해 부산 벡스코에서 론칭했다. 2회부터는 개최 장소를 서울로 옮겨 현재까지 코엑스에서 진행하고 있다. 키아프가 출범 초기에 봉착한 과제는 ‘국제화’였다. 글로벌 아트페어의 형식을 내세운 만큼 해외 갤러리 유치가 시급했다. 이를 위해선 국내 마켓이 해외 갤러리가 진입할 만큼 시장성을 갖추고 있는지 입증해야 했다. 키아프는 해외 활동이 활발한 작가를 적극 내세웠다. 1990년대는 백남준 이불 고영훈 김홍주 서도호 조덕현 김수자 이상남 등이 국제적으로 각광받는 시기였고, 함섭 전광영 정광호 함진 김동유 홍경택 등이 국제 아트페어와 경매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중이었다. 블루칩 작가의 출전으로 해외 갤러리에게 키아프와 한국 미술시장의 잠재력을 확인시켰다.

국내 최고 마켓 아시아로, 세계로!_키아프 서울 202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