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보일드 원더랜드_박서영: 바흐티노프 마스크

박서영 기획전 《바흐티노프 마스크》(11. 7~26 부연, 옹노) 전시 포스터(디자인: 정사록)

1
오늘 아침 골목길의 조각난 보도블록처럼 매일 발견되는 사물의 시체, 터진 내장 위 그려진 어김없는 발자국. 우리는 인류의 진면목을 본다. 이 인류는 사물을 두려워한다. 인류를 대신해 죄를 저지르는 것에 대하여, 또 대신 병을 앓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마침내 대신 죽음을 맞는 것에 대하여…. 인류는 영원히 값을 치르지 않아도 된다고 ‘자연스럽게’ 부인하려 하지만, 사물의 논리에서 고지서는 어떻게서든 도착한다는 걸 그들은 ‘애써’ 알고 있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있다면 사물이 인간을 ‘대신’해서가 아니라, 인간을 ‘대체’하고자 창궐해 왔다는 것이다. 외부에 대한 무상無常과 내적 자유, 올림피아의 신이 누렸던 것과 같은 이상理想의 개념이 요구하는 것은, 이 순간 인류보다 사물에게 가장 충실하다. 인간이 절반으로 준다면 얼마나 많은 숲이 살아남을까. 인류의 멸종을 막아야 할 간절한 이유가 무엇인지 물었으나, 그 답은 세계가 지르는 비명에 저 값의 유예만큼 가려질 것이다. 《바흐티노프 마스크》. 전시는 그렇게 그쪽으로 걷는 것 외에는 우리가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우리가 아무것도 아니기를 요구한다.

하드보일드 원더랜드_박서영: 바흐티노프 마스크 더보기

사람이었네

화가 정지현, 그는 개인전 <ONE WAY>(4. 14~5. 16 상업화랑)에 깊은 밤 풍경을 목탄으로 담았다. 사람보다 사물이 재잘거리는 시간. 인간 형상(人形)이 제 머물 곳으로 귀향한 자리에 빈 처소만이 남았다. 그런 줄 알았다. 그러나 한 걸음을 더 옮기는 순간 불행히도 어느 노인과 마주치고 만다. <두 개의 빛>(2021). 밤을 모르는 듯 그는 수레에 폐품을 싣고 귀향과는 먼 곳으로 나선다. 세상 누구도 수레를 끄는 노인의 안부를 물은 적 없었다. 하루를 들여 수거한 사물보다 많은 사람과 마주쳤지만, 누구도 인사를 건네지 않았다. 안부도 인사도 접근하지 않는 존재는 사물과 구분되지 않기에, 전시장을 나가 사람의 세계로 향하는 일이란 노인은 도무지 할 수 없다. 그를 담은 작업조차 사물의 이름을 하고 있어 인형을 빗겨 지나간다. 정지현은 우리보다 먼저 그와 마주쳤던 모양이다. 어떤 일도 기록에 남고, 무엇도 검색만 한다면 찾을 수 있는 세상이라지만 그에 대해 우리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이 그림은 그를 유일하게 기억한다. 국가 통계 속에서 이제 가난은 존재하지 않는다. 강력한 물증 앞에서 작품은 더 처연해진다. 절대적인 빈곤이 사라졌다고 믿는 곳에서 가난은 멀고, 드물고, 예외적인 개인의 처지로 남았다. ‘예술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라는 클레의 말을 달리 읽어본다. 예술의 책무는 행복만 존재하는 곳일지라도 그곳에 마지막까지 슬픔을 남겨 놓는 일이다. 불행을 기꺼이 껴안기 위해서, 슬픔에 지겹다고 말하지 않기 위해서, 예술은 여전히 세상에 머문다. 전시장을 나오며 한숨을 쉬려다 참았다. 나는 무슨 권리로 한숨을 쉬는가. / 조재연

『아트인컬처』 뉴스레터 postcard_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