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마다 시계를 갖게 되었으니, 우리는 이제 서로에게 시간을 묻지 않는다. 여기가 어디인지는 드물게만 물으면서도 지금이 몇 시인지・오늘이 며칠인지 이따금씩 자주 묻곤 했던 때와 오늘은 다르다. “몇 시인가요?”는 누구에게나 물을 수 있는 물음이었다. 누구에게 물어도 같은 대답이 나왔고, 그 대답은 물음하는 자라면 늘 필요한 것이면서도 정확한 답이었다. 사회라는 낱말이 함께 살아가는 여럿을 묶는 일종의 상상적 지평일 때, 시간을 묻는다는 것은 여전히 우리가 동시에 있는지, 즉 함께 있는지 혹은 함께하는지를 그때그때 확인하는 징후적인 암구호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니 더는 시간을 묻지 않는 우리는 이제 함께하지 않거나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은 시대에 도착한 것일 테다. 반대로 스스로 “몇 시”를 도처에서 찾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몇 시”인지 물음을 재촉하는 자는 지금 주어진 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을 찾는 이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으로써 그저 ‘여럿임’에 ‘함께’라는 부사를 붙이려 하거나, 그런 지평을 만드는 데 헌신하려 하는 이기도 할 것이다. / 조재연
[태그:] 서평
영원히 영원을 포기하지 않기_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1
모순을 해결해주는 데 늘 주선에 나섰던 변증법도 죄의 부피를 구할 순 없었던 때가 있었다. 그때, 영원히 사랑한다는 말은 하지 않는 게 좋았을지 모른다. 이별을 지으면서 나는, 늘 그 말에 가책받아야만 했다. 그때의 말이 거짓이었냐는 상대의 추궁 앞에서 대꾸는 항상 주춤거렸다. 그 추궁에 너무나 억울한 나머지 그때는 진심이고 진실이었다 하고 싶었지만, 아뿔싸 ‘그때’라는 말과 ‘영원’이라는 말은 도통 섞이지 않았다. 영원이란 것은 결국 순간의 진심을 무척 강조하기 위해서 ‘너무’라는 부사를 갈음하고자 등장한 수사에 불과했을까. 인간은 다른 사람과 살아가기 전에 스스로와 살아가야 한다. 유한한 존재가 영원이란 말을 꺼냈을 때, 스스로에 대하여 전부 파악할 수 없을 작은 신체가 진심이란 말을 꺼냈을 때, 그 말은 인간에게 영원이란 개념으로 할당된 ‘영혼’을, 그리고 실재라는 개념으로 할당된 ‘생’을 건 말이었을지도 모른다. 영혼과 생을 건넨 말이 거짓이라면 그땐 정말 ‘나’와 살아가기가 힘들었고, ‘나’로 살아가기가 힘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