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피하게 누군가의 적_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2020. 8. 19~11. 22 서울시립미술관) 포스터

인간에 대한 존중은 두려움에서 나옵니다.
살아있는 인간은 빼앗으면 화내고 맞으면 맞서서 싸웁니다.
— 최규석, 『송곳』 2권(2015)에서

1
초록 사과가 한두 개씩 떨어지는 일은 발붙인 존재들의 숨을 멎게 하기 위한 것. 달이 창백한 것은 짐승의 안광을 번뜩여 적당한 피부를 오리려는 출혈의 산물이기 때문. 인간의 피가 붉은 것은 자연엔 초록밖에 존재하지 않기에. 수명壽命의 끝에서 땅이 굶주림을 채우고, 그 굶주림이 시간에 따라 이뤄지지 않을 때면 부러 재해 같은 상사喪事를 지어낸다. 이 독을 찬 묘사는 자연을 향한 것이다. 오만한 인간은 자연의 일이 인간을 양육하고자 행해진다 여기어 그들의 과실만을 취하려 하고, 조금이나마 지혜를 얻은 인간은 자연의 악은 장막으로 감추고, 그 자애만을 기억한 채 교류에 나서려 하겠지만, 이 중 어느 입장으로도 자연의 존엄은 발생하지 않는다. 자연의 존엄을 바라는 일은 도무지 자연의 악을 강조할 때 그래서 그들이 두려움을 주는 존재로 여겨질 때 가능하다고, 나는 조금씩 생각해 보고 있다. 아름답지도, 생기로 멋 부려지지도, 인간을 껴안을 너른 품을 자랑하지도 않는, 임동식이 그린 자연을 보고선 그곳에 초조히 목을 내놓고 기다리는 인간을 발견한다. 반성은 인간의 버릇. 더는 그것에 흔들리지 않으니 으름장. 그걸 써야만 한다.

불가피하게 누군가의 적_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