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란으로 고요를 짓는 일_비아니, 곽철안: Black Echo

비아니, 곽철안 《Black Echo》 전경 5. 14~6. 14 아줄레주갤러리

고요는 소란을 딛고 일어선다. 소란에게는 고요를 길러낼 힘이 있고, 결국엔 기척도 없이 고요가 등 뒤에 따르리라는 믿음은 견고하다. 그러나 이 말을 비가 오고 땅이 굳는다는 흔한 교훈으로 입에 담을 생각은 없다. 여윈 바늘이 떨고 있는 한 우린 나침반 가리키는 방향을 믿을 수 있다. 모두가 잠든 밤이 지닌 적막은 사실 별과 개울, 풀벌레의 낮고 작은 웅성거림으로 빚어진다. 그렇다면 고요는 소란과 나란히 놓인다. 소란의 끝이 아니라 그 한가운데서부터 시작된다. 소란이 고요의 형식일지 모른다는 것. 나는 비아니(Viani)와 곽철안의 《Black Echo》에 대해 말하고 있다. 두 작가의 세계는 고요하다. 완주를 마친 원과 제 길이를 모두 펼친 선. 그러나 여전히 분출하는 빛무리와 그치지 않는 선율. 누구보다 완연한 고요가 그럴 수는 없는 것. 오히려 조형 곳곳은 소란하여 고요를 생생하게 불러내는 것은 아닐지. 이들의 파동을 여기 옮긴다.

소란으로 고요를 짓는 일_비아니, 곽철안: Black Echo 더보기

풍경, 자연의 강림_강명희: 방문

◼︎ 『아트인컬처』 2025년 3월호

〈동백계절〉 캔버스에 유채 240×315cm 2018

한국과 프랑스를 무대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온 원로 화가 강명희. 그의 개인전 〈방문 Visit〉(3. 4~6. 8)이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개최된다. 강명희의 작품 활동 60여 년, 그 빛나는 발자취를 돌아본다. 작가의 예술세계를 시기와 주제로 나눈 대표작 150여 점을 공개한다. 강명희는 시적 정취를 머금은 풍경화로 ‘존재와 자연의 관계’를 탐구해 왔다. 남극, 고비사막, 파타고니아 등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로 홀연히 떠나, 눈앞에서 본 생생한 풍광을 화면에 펼친다. 유랑자의 태도로 자연을 향해 적극적으로 발을 내딛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회화다. 작가의 붓끝에서 피어난 자연의 결과 겹, 리듬, 패턴, 울림…. /

풍경, 자연의 강림_강명희: 방문 더보기

자- 변신이다_임동승: TRANS

임동승, 「변신」, Oil on canvas, 2018

비록 얼어붙고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여전히 시간에 존재를 흘려보내려는 것이 또 공간으로 발하려 하는 것이 있다. 동그라미가 ‘평면 위의 한 점에 이르는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가리킨다면 그것은 시간도 공간도 갖지 않은 셈이지만, ‘일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평면상을 회전하는 폐곡선’을 뜻한다면 그것은 어느새 시공간 안을 흐르고 차지하는 것이 된다. 그것이 멈춘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단지 머리가 꼬리를 놓친 적이 없을 정도로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빠르게 회전하는 까닭이다. 비명도 발작도 없이 정지된 평면만이 강조된 것이 그림의 본질이나 운명이라고 전하는 것은, 임동승이 말한 “영화적인 면모, 강점이 회화의 영역에서 비본질적이고 착오적인 것으로 여겨진 시기”의 산물일 것이다. 그러나 그로부터 운명을 거스르는 것과 따르는 것이란 양자의 선택지가 있다는 생각은 과녁을 빗나간다. “무엇을 그려야 하고 무엇을 그리지 말아야 하는지를 누군가 결정할 수 있다는 생각은 아무도” 할 수가 없어졌다. 정지의 결정이 발생을 가능하게 만들고, 발생을 결정한 곳에서 정지가 증식된다. 그러니 그리는 자가 이제 해야 할 것은 그것에 “항상 무언가가 작동하고” 있다는 인식 이후에 나서는 것이다. 임동승의 《TRANS》는 어느 입장을 선택하든지, 결국 반대의 선택의 책무를 떠맡아야 한다는 것을 모른 체 하지 않는다. / 조재연

(『월간미술』 2020년 5월 제424호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