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인: 사랑, 희비의 파랑

아트사이드갤러리, 최수인 개인전

〈Three clouds〉 캔버스에 유채 60.6×60.6cm 2023

최수인은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감정을 자연에 녹여 풍경화를 그린다. 그가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개인전 《He Gives Me Butterflies. 사랑》(9. 1~10. 7)을 열었다. 사랑을 나누는 관계가 빚는 진실과 거짓을 주제로 신작 25점을 선보인다. 작가는 작업 초기부터 관계에서 드러난 것과 감춰진 것의 긴장을 형상화해 왔다. 이번 전시가 기존과 다른 점이 있다면 관계를 ‘사랑’으로 구체화했다는 것. 이전까지 특정한 상황을 명시하지 않고 주체와 타자의 보편적인 불화를 간접적으로 비췄다면, 신작에서는 포옹, 입맞춤과 같은 애정 행위로 사랑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최수인: 사랑, 희비의 파랑 더보기

얼굴 하나야_김인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김인혜 개인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5. 19~6. 1 갤러리TYA) 전시 포스터(디자인: 장민정)

1
모든 얼굴은 익사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흰 종이배처럼 발그스름한 물결 위를 떠돌며 나는 그것을 배웠다. 너의 낯설었던 낯은 눈부심으로 띄워졌다가 해석을 향해 흘러가고, 그 무게가 익숙함으로 젖어갈 때쯤 응시에서 모습을 감추었다는 사실을 기억하니까. 둥근 이마와 굴곡진 코, 눈동자의 깊이는 진부해진 이후 더는 낱낱이 읽히지 않는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해변으로 떠내려간 가면들이 뜨거운 모래 위에서 녹고 마침내 속살이 부드러운 점자로 솟아났을 때. 눈먼 나, 젖은 손가락으로 기쁨과 슬픔 그리고 노여움과 환희의 주름을 읽게 된다. 그리고 거기엔 더 이상 어떤 진부함도 남지 않는다. 외려 있다, 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것은 의문뿐이다. 어째서 눈은 호수가 아니고 눈인지. 내민 뺨은 밀어내기보다 어떻게 수렁처럼 나를 끌어당기는지. 균형을 잃은 낙하산처럼, 때로는 표류하는 뱃머리처럼 능선과 그것을 어르는 노을 사이에서, 제자리에서 길을 잃는 나. 이제 모든 것이 생경하다.

얼굴 하나야_김인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더보기

부재중 자동응답_박혜수, 안부: 굿바이 투 러브

안부 ⟨Excusez-moi⟩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52×40cm 2019

1
나, 헤어질 때만 사랑을 하였다. 없다, 고 인정할 수밖에 없을 뿐일 때. 나는 사라진 연인에게 가장 성실하다. 이제 일어날 시간이라고 속삭이지 않자 아침을 잃게 되었고, 오늘은 어디로 가는지 묻지 않아 다섯 평 방안에만 머물게 된 나는 비로소 네가 무엇이었는지를 알고 있다. 내가 너를 가졌던 사이 너는 생활의 도구였다. 옷을 골라주고 저녁을 챙기고 야음을 데우는 기계였던 너는, 부재와 동시에 충실한 연인이라는 도구적 현전의 방식에서 사라지기로 결정한다. 그 순간 경첩이 빠진 하루는 종일을 삐걱거리고, 용도 속으로 융해되었던 어떤 그는 첫날처럼 삼킬 수 없는 고체로 나타난다. 사랑의 이름으로 연인을 녹이었듯, 사랑의 이름으로 너를 응고시키어 나의 이마를 건드린다. 사랑이 만남 아래 멀어졌다가 이별 위에 다시 내린다. 사랑이 조건 없는 상태로만 존재하는 것이라면 다행히 이제 네가 없어 나는 사랑으로 나아간다. 손안에 없는 연인. 나, 질투 없이도 너를 그릴 줄 알고, 구속 없이도 끌어안을 수 있게 되었다. 마침내 나는 부재하는 연인에 대한 예찬자이다.

부재중 자동응답_박혜수, 안부: 굿바이 투 러브 더보기

차라리 싫다고 하면 될 일_BGA Compliation 109.

표지 작품은 고등어 <몸부림 120> 종이에 연필, 140×260, 2017

차라리 내가 싫다고 했더라면 지금 내가 이렇게 기다리진 않을 테지. 그렇다면 차가운 말투보다도 내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는 그 주저에서 따뜻함을 길어 올리고, 별수 없는 미안하다는 말에서 남아있는 조금의 배려를 발견하지도 않을 테지. 그러나 이 절망 한가운데서도 희망은 긴 주머니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송곳처럼 기어코 발생하고 말아 나의 이별을 또 한 번 미룬다. 남들은 희망이 아름다운 낱말이라고 말하지만 나는 그것이 사람을 더 외롭게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저 포기하고 중력이 이끄는 대로 피의 웅덩이 속으로 가라앉는다면 편하련만, 어째서 미약한 희망에도 반짝이는 눈망울. 그럴 때마다 잠깐 가엾다가도 오랫동안 사랑스러울 인간. 여기에 희망의 악취를 적는다. 그리고 절망의 아름다움을 옮긴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희망에 속지 않겠습니다. 그런데,

1/10 「사랑의 잔고는 영원 Ⅰ」_이수진, ⟨Signal⟩
1/11 「미워도 다시 한 번」_고등어, ⟨몸부림 120⟩
1/12 「늬가 없어도 나는 산단다」_장성은, ⟨리듬 D⟩
1/13 「나는 더러워서 무엇도 피할 필요가 없다」_정희승, ⟨무제 #04_기억은 앞면과 뒷면을 가지고 있다⟩
1/14 「사랑의 잔고는 영원 Ⅱ」_이현수, ⟨Untitled 3⟩

(미술 구독 서비스 “BGA 백그라운드아트웍스”에서 계속)

영원히 영원을 포기하지 않기_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표지 삽화_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조재룡 옮김, 길, 2010

1
모순을 해결해주는 데 늘 주선에 나섰던 변증법도 죄의 부피를 구할 순 없었던 때가 있었다. 그때, 영원히 사랑한다는 말은 하지 않는 게 좋았을지 모른다. 이별을 지으면서 나는, 늘 그 말에 가책받아야만 했다. 그때의 말이 거짓이었냐는 상대의 추궁 앞에서 대꾸는 항상 주춤거렸다. 그 추궁에 너무나 억울한 나머지 그때는 진심이고 진실이었다 하고 싶었지만, 아뿔싸 ‘그때’라는 말과 ‘영원’이라는 말은 도통 섞이지 않았다. 영원이란 것은 결국 순간의 진심을 무척 강조하기 위해서 ‘너무’라는 부사를 갈음하고자 등장한 수사에 불과했을까. 인간은 다른 사람과 살아가기 전에 스스로와 살아가야 한다. 유한한 존재가 영원이란 말을 꺼냈을 때, 스스로에 대하여 전부 파악할 수 없을 작은 신체가 진심이란 말을 꺼냈을 때, 그 말은 인간에게 영원이란 개념으로 할당된 ‘영혼’을, 그리고 실재라는 개념으로 할당된 ‘생’을 건 말이었을지도 모른다. 영혼과 생을 건넨 말이 거짓이라면 그땐 정말 ‘나’와 살아가기가 힘들었고, ‘나’로 살아가기가 힘이 들었다.

영원히 영원을 포기하지 않기_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