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창세기, 게임과 AI의 만남_이안 쳉: 세계건설

◼︎ 『아트인컬처』 2022년 5월호

〈사절, 완벽을 향해 분기하다〉 라이브 시뮬레이션, 스토리, 사운드 무한 길이 2015~16

이안쳉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가상 세계를 창조하는 미디어아티스트다. 게임 엔진과 AI 기술을 이용해 인간 의식에 접근하고, 주체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탐구해 왔다. 작가의 손을 떠난 후에도 프로그램은 스스로 서사와 사물을 발생시키면서 그야말로 디지털 ‘창세기’를 써내려 간다. 그의 개인전 〈세계건설〉(3. 2~7. 3 리움미술관)이 열리고 있다. 쳉의 작업 세계를 대표하는 〈사절〉 삼부작과 애플리케이션 연동 작업 〈BOB(Bag of Beliefs)〉, 리움미술관과 함께 제작한 애니메이션 〈BOB 이후의 삶: 찰리스 연구〉 등을 공개했다.

디지털 창세기, 게임과 AI의 만남_이안 쳉: 세계건설 더보기

오라, 시간도 공간도 남김없이

“시간은 모든 일이 동시에 일어나지 말라고 존재하는 것이다. 공간은 모든 일이 나한테 일어나지 말라고 있는 것이다.” 수전 손택이 소설을 두고 한 이 말은 미술 앞에서 모두 미끄러진다. 텍스트는 늘 왼쪽 상단에서 시작하지만, 그림은 언제나 모든 면이 동시에 발생해 한꺼번에 밀려온다. 지명을 언급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장소를 이동할 재주 역시 그는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림이 머물도록 허락한 곳은 영영 이 프레임이 전부다. 그래서 회화가 때때로 비극을 내보일 때마다 나는 더욱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그곳의 절망은 기승전결도 인과 관계도 없이 왈칵 함께 쏟아지며, 도망갈 처소도 마련해 주지 않고 화면 전부가 그저 불행이라고 말하는 연유에서였다. 최진욱은 개인전 <학교를 떠나며>(3. 25~4. 23 아트사이드갤러리)를 열면서 14년 전 그렸던 ‘KTX 여승무원 파업’을 다시 꺼내 들었다. <이것이 어떤 계기가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이 <379. 우) 피, 땀, 눈물_삼부작>으로 바뀌었고, 형상도 색채도 모두 새로운 캔버스로 옮겨졌지만, 화가가 보살펴 온 어제는 내일처럼 지치지 않고 밀려와 발아래서 밑창을 적신다. 젖어 무거운 발로는 어디도 갈 수가 없어,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 도무지 낯설어질 때까지 다시 응시해야만 한다. 갈피라도 댈 수 있다면 한 장 넘겨 도망치겠다만 한꺼번에 전부를 건네는 그림 앞에서, 존재는 똑같이 온몸으로 대가를 치러야 한다. 파르라니 깎은 머리에 푸른색이 몇 개인지 헤아려 보고, 약지에 낀 반지가 몇 그램일지 더듬어 보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비겁이 진한 내가 그림을 사랑하는 까닭은 그가 도망칠 길을 빼앗는 까닭. 너무 빨리 잊어버렸던 날들을 속절없이 돌이키고 있다. 최진욱의 그림이 한꺼번에 주는 것은 하나의 사건만은 아니었다. 머리를 깎으며, 정작 고와서 서러운 눈물을 흘리는 이들은 사라진 적이 없었다. 그림 단 하나 보았을 뿐인데도 4월의 바다가, 5월의 거리가 그 많고 많았던 모든 밤이 동시에 밀려온다.

『아트인컬처』 뉴스레터 postcard_77📬

여름 이상의 형이상학_고현정: The Sweet Sunburn

고현정, ⟪The Sweet Sunburn⟫, 아트랩반, 2022. 4. 22~5. 21, 전시 포스터(디자인: 마카다미아오!)

당신의 말을 잘 듣는 나는 비로소 여름을 당신에게 보낸다. 당신은 당신의 생이 싫다고 했지. 그러니까 내가 그 생을 망가뜨려 줄까. 그가 소리를 지르고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당신의 속이 풀리어 해어질 때까지. 그러다가 결국은 그를 연민하고 말 때까지 생이 저물게 만들어 줄까. 어린 숨결에도 시들고, 젖은 안개에도 불이 붙고, 거위의 깃으로도 곪을 만큼 생을 흐물게 녹이어 줄까. 바다를 증명하려는 조개의 화석처럼, 초생달을 고백하고 마는 고래의 맥놀이처럼, 백 개의 그림자를 알리는 밀의 줄기처럼 굳어지지 않는 것들로 모두 모두어 이곳을 채워줄까. 너에게 아침은 어떻게 오지라고 묻지 않고, 처음으로 밤을 기다릴 당신. 다디단 살 그을음. 여름 이상의 형이상학_고현정: The Sweet Sunburn 더보기

불가피하게 누군가의 적_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2020. 8. 19~11. 22 서울시립미술관) 포스터

인간에 대한 존중은 두려움에서 나옵니다.
살아있는 인간은 빼앗으면 화내고 맞으면 맞서서 싸웁니다.
— 최규석, 『송곳』 2권(2015)에서

1
초록 사과가 한두 개씩 떨어지는 일은 발붙인 존재들의 숨을 멎게 하기 위한 것. 달이 창백한 것은 짐승의 안광을 번뜩여 적당한 피부를 오리려는 출혈의 산물이기 때문. 인간의 피가 붉은 것은 자연엔 초록밖에 존재하지 않기에. 수명壽命의 끝에서 땅이 굶주림을 채우고, 그 굶주림이 시간에 따라 이뤄지지 않을 때면 부러 재해 같은 상사喪事를 지어낸다. 이 독을 찬 묘사는 자연을 향한 것이다. 오만한 인간은 자연의 일이 인간을 양육하고자 행해진다 여기어 그들의 과실만을 취하려 하고, 조금이나마 지혜를 얻은 인간은 자연의 악은 장막으로 감추고, 그 자애만을 기억한 채 교류에 나서려 하겠지만, 이 중 어느 입장으로도 자연의 존엄은 발생하지 않는다. 자연의 존엄을 바라는 일은 도무지 자연의 악을 강조할 때 그래서 그들이 두려움을 주는 존재로 여겨질 때 가능하다고, 나는 조금씩 생각해 보고 있다. 아름답지도, 생기로 멋 부려지지도, 인간을 껴안을 너른 품을 자랑하지도 않는, 임동식이 그린 자연을 보고선 그곳에 초조히 목을 내놓고 기다리는 인간을 발견한다. 반성은 인간의 버릇. 더는 그것에 흔들리지 않으니 으름장. 그걸 써야만 한다.

불가피하게 누군가의 적_임동식: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더보기

눈을 감아 보이는 밤

불을 끄고 눈을 감아도, 조명이 눈꺼풀을 깨문 자국 사이로 기어이 빛이 들어오고 만다. 분명 없는 것인데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때, 나는 속수무책으로 어둠을 빼앗긴다. 양평 구하우스 상설전에서 다리우시 호세이니(Dariush Hosseini)의 ⟨Wide Shut 2⟩(2018)를 지나며 눈이 묶인 밤을 떠올렸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Eye’s Wide Shut⟩(1999)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호세이니는 눈으로 관찰한 것이 아니라 눈을 감고서야 보이는 대상을 그렸다. 그러니 작품을 보면서 나는 저 형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노려보기보다는 못내 함께 눈을 붙여야만 한다. 이제껏 시각은 작품의 입을 여는 열쇠였지만, 호세이니의 그림은 스스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서 나의 입을 여울게 한다. 너는 단 한 번 물었지만 나는 네게 영원히 답하고 있다. 검은 화면에 하이얀 포말이 일어날 때까지 혀는 눈동자를 문지른다. 작가가 흩어놓은 것이 아니라, 내 빈 밤의 문을 두드리는 기억을, 거품을 헤치며 찾아야 한다. 많은 상처를 주고 적은 상처를 받은 어제, 빙하기와 운석을 기다리는 오늘, 비겁함을 거듭하면서도 회의적인 내일. 한편 눈을 감는 순간마다 떠오르는 처음 보는 눈동자. 길이라곤 없는 온통 검은 화면으로 들어온 어떤 존재를 생각한다.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 감을 수밖에”라는 결백한 시구를 미심쩍게 ‘눈 감으니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할 수밖에’로 고쳐볼까. 그래도 노를 저어 밀어온다면 은결도 포말도 주머니에 있는 걸 다 내주어, 옥같이 뱃전에 부서지리다.

『아트인컬처』 뉴스레터 postcard_64📬

차라리 싫다고 하면 될 일_BGA Compliation 109.

표지 작품은 고등어 <몸부림 120> 종이에 연필, 140×260, 2017

차라리 내가 싫다고 했더라면 지금 내가 이렇게 기다리진 않을 테지. 그렇다면 차가운 말투보다도 내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는 그 주저에서 따뜻함을 길어 올리고, 별수 없는 미안하다는 말에서 남아있는 조금의 배려를 발견하지도 않을 테지. 그러나 이 절망 한가운데서도 희망은 긴 주머니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송곳처럼 기어코 발생하고 말아 나의 이별을 또 한 번 미룬다. 남들은 희망이 아름다운 낱말이라고 말하지만 나는 그것이 사람을 더 외롭게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저 포기하고 중력이 이끄는 대로 피의 웅덩이 속으로 가라앉는다면 편하련만, 어째서 미약한 희망에도 반짝이는 눈망울. 그럴 때마다 잠깐 가엾다가도 오랫동안 사랑스러울 인간. 여기에 희망의 악취를 적는다. 그리고 절망의 아름다움을 옮긴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희망에 속지 않겠습니다. 그런데,

1/10 「사랑의 잔고는 영원 Ⅰ」_이수진, ⟨Signal⟩
1/11 「미워도 다시 한 번」_고등어, ⟨몸부림 120⟩
1/12 「늬가 없어도 나는 산단다」_장성은, ⟨리듬 D⟩
1/13 「나는 더러워서 무엇도 피할 필요가 없다」_정희승, ⟨무제 #04_기억은 앞면과 뒷면을 가지고 있다⟩
1/14 「사랑의 잔고는 영원 Ⅱ」_이현수, ⟨Untitled 3⟩

(미술 구독 서비스 “BGA 백그라운드아트웍스”에서 계속)

늬가 없어도 나는 산단다 _박혜수: 어디서 다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박혜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실연수집’ 설문 답변지로 종이학을 접은 뒤 다시 펴서 만든 러브레터를 불도장으로 태움 각 120×170cm 2022

1
어찌할 수 없는 갈라섬을 이별離別이라 말하고 제힘으로 갈라섬을 비로소 작별作別이라 한다면, 우리는 언제나 지구의 것이 아니길 바랐던 이 ‘별別’의 일을 두 번이나 겪어야 했다. 전자의 별이 노도처럼 존재를 제 마음대로 어디든 도착하지 못하도록 휘젓는 일이라면, 후자의 별은 그 출렁임과 허우적거림에 대한 인정, 선택 그리고 결단의 일. 사랑 않겠다는 각오가 어김을 어김없이 만나듯 상륙은 없다. 그렇다면 이 별이 존재에게 준 책무는 사실 어딘가 도달하거나 도달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외려 이다지도 파도를 만드는 일인 것은 아닐까. 많은 날을 다 보내고 또 그 많던 널 보내고, 그제서야 깨달은 것은 내게 당신을 보낼 수 있는 권능이 있다는 사실이 아니라, 송구와 유출 뒤에 여전히 남을 만큼 내게 당신이 많다는 사실. 그러니 지워질 것뿐 아니라 도무지 지워지지 않는 것이 있고 만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어떤 믿음이 생겨날 수밖에요. 영원? 그렇게 감상적인 단어가 세상에 남아있을 리가, 하고 의심했던 자리에 이별로써 못 믿을 것이, 작별로써 다시 믿어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렇게나 사랑은 제 갈 길로 갔지만, 영원만은 이 자리에 남아 있어라.

늬가 없어도 나는 산단다 _박혜수: 어디서 다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더보기

형식, 비약의 건조물_이여운의 회화

이여운 ⟨스튜디오 가는 길⟩ 캔버스에 수묵 73×97cm 2011

1
물 위로 난 흰 이빨 자욱, 부풀어 오르는 비눗방울, 밤하늘의 검은 너울, 유리의 거미줄. 달빛인지 햇빛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그저 여울지 못한 창백한 조명 아래, 여윈 너의 팔과 다리를 비유할 낱말을 발음해 본다. 분명 획 하나를 제외한 모든 면에 얽힌 거대한 무게를 생략해 버린 당신은, 이 순간 가장 엷고 얇다. 나는 횡행한 없는 것들을 모아 부르고 싶어졌다가, 쉽게 ‘폐허’를 모색하는 감동에는 어떤 상투성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째서 풍경의 부재는 새삼스럽게 죽어가는 것,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아름다움으로 밀려가는 것일까. ‘부재’와 ‘폐허’. 나는 이런 감정과 태도를 의미하는 단어를 조금 노려본다. 없다고, 말할 수 있을 뿐인 때가 있다. 그러나 나는 너에 대해서 이 순간 있다고, 말할 수 있을 뿐이다. 폐허라 말하지 않겠다. 하늘을 그리지 않아도 형상만으로 빛이 있음을 알고, 다음 장면을 볼 수 없으면서도 그림자로 시간이 줄어드는 줄 알며, 길을 그리지 않아도 문이 존재하므로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맙소사 나는 무엇이든 이 장소에서 만날 수 있을 것만 같다.

형식, 비약의 건조물_이여운의 회화 더보기

『비평웹진 퐁』 인터뷰_tunainforest: 비평의 ‘위드’는 가능한가

비평웹진 퐁 홈페이지 대문. ‘퐁’은 텍스트가 이미지에 기대어 의미를 형성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아래는 tunainforest가 비평웹진 퐁에서 기획한 「비평의 ‘위드’는 가능한가: 비평가 22인의 릴레이 인터뷰」 중에서 필자의 답을 모은 글이다. 본 기획에는 미술, 만화, 영화, 음악 각 분야의 비평가가 참여했다.

tunainforest (이하 T) 처음으로 글을 썼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재연 (이하 J) 아마도 이런 대답은 아둔한 편에 속하겠지요? 저는 이미 몇 편의 문장들을 쓰고 난 후에야 제가 하고 있는 일이, 또 마음에 둔 일이 ‘글쓰기’임을 알았으니까요. 그래서 첫 글을 어떤 연유에서 썼는지에 대해서라면 대답할 수 없습니다. 다만 계속 쓰는 이유라면 답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처음 글을 쓰게 된 이유와 다르지 않길 바라봅니다.

『비평웹진 퐁』 인터뷰_tunainforest: 비평의 ‘위드’는 가능한가 더보기

독을 차고_안민: Conscience

안민, ⟨Conscience (21수1110)⟩, 사인 플렉스지에 유채, 220×290cm, 2021

1
엄마와 아버지가 서로를 사랑했다는 이야기, 잠든 모든 이의 얼굴이 선하다고 믿는 일, 한 사람의 마음엔 한 사람 이상의 다른 사람이 살고 있다고 보는 일, 그리고 사랑이 죽음으로써 끝난다 해도 사랑의 주검은 도무지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 오래전 내가 읽은 체, 알은 체하고 눈 돌렸던 모든 장면들이 시간도 장소도 심지어 기억도 없이 살아와 끝내 희망을 선물한다. 나는 올 한 해 울지 않았기에 선물을 받는 것이겠지. 그러나 울지 않았다는 건 그만큼 순응하고 타협했다는 말과 다른 점이 없지 않을까. 나의 절망을 남에게도 심지어 스스로에게도 알리지 못한 채 그것을 희망이란 그럴싸한 말로써 그저 삼킨. 어째서 눈물을 흘리지도, 엄격하지도, 책망하지도 못한 모습으로 끝끝내 당신을 미워할 수는 없게 되어버렸나. 그러니 내가 예찬해야 할 대상은 이제 부정적인 것들이다. 더는 희망을 찾지 않으면서 그리고 이해를 찾지 않으면서 절망과 미움으로써 미래를 지켜낼 수 있다고 믿어야 한다. 벗은 그 무서운 독을 그만 흩어버리라 하겠지만,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할지 모른다고 위협하며, 독에 구원이 있다고 믿어보는 일에 나선다. 예술의 한편은 다시 그곳에 종사하려 한다.

독을 차고_안민: Conscienc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