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의 주방》 2017.12.07.-2018.01.14.

마담의 주방
2017.12.07-01.14
대안공간 눈 제1전시실

1
어쩐지,
레지던시에서 그때 마담은 뭐든지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것이 맞았던 적은 별로 없는 것 같지만. 그녀는 작업에 대해서, 예술에 대해서 말하기를 좋아했다. 그리고 그녀가 작업에 대해서 말할 때면, 그녀는 꼭 나의 평소를 언급했다. 다음 전시에 일본인이 올지는 알 수 없지만 내 이름이 일본어의 어떤 발음과 겹치니 이름을 바꾸는 것이 좋을지도 모른다거나, 밖에서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현지인들이 보기에 무섭게 느껴질 수 있다는 등의 이야기는 꼭 작업에 관한 이야기의 중간에 끼어 있었다. 그녀에게 나는 늘 예술가인 사람이거나, 늘 동류인 예술가인 듯 했다. 그 맥락 위에서 나의 평소는 혹은 거창하게 삶은 작업의 과정 안에 대등하게 있거나 완성된 것이 존재하지 않는 늘 진행 중인 전개의 형식을 유지했다. 어쩐지. 그때 마담은 뭐든지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것이 맞았던 적은 별로 없는 것 같지만, 그래도 내 작업의 출처가 내 일상이라는 것, 내 작업은 그때 완결된 것이 아니라 진행된다는 것을 그녀는 주방에서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었다.

2
예술은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것의 함유성에 대한 타자로서 외부에 존재한다. 환락(歡樂)의 대상인 예술을 일상과 일치시킬 때 그것은 도구성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해방의 창구로서 기능한다. 모더니즘 미학이 예술에 희망을 걸며 가망 없는 헌신을 하려는 바를 거칠게 요약하자면 앞의 이 두 문장이 될 것이다.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하나이자 곧 전체일 ‘상품’은 우리에게 오직 결과로서만 모습을 드러낸다. 그것은 누가 만들었는지, 어떤 방식을 통해서 생산 되었는지 중요하지 않거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고 오직 가격만을 가진 채 결과만 우리의 시야에 들어온다. 그러나 예술엔 늘 ‘과정’의 물음이 끈적이게 따라다니기 마련이다. 그것이 담보하는 비평의 가능성은 곧 ‘비판’의 가능성으로 세계를 위협하고 긴장을 일으킨다. 그러나 상품에 대한 리뷰는 창궐하지만 예술에 대한 비평이 빈곤함은 그 자체로 비평의 위기를 넘어서 예술의 위기이자 변혁의 위기일 것이다. 이 위기를 유예시키기 위해서 예술은 비평을 담보했던 ‘과정’을 보존해야한다. 약정된 작업실에서 일상으로, 완결된 작품이 아닌 태동하고 전개하는 작업으로. 그건 예술의 몫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