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입만-行: 구걸하는 예술》 2017.3.18.-3.26.

한입만-行_구걸하는 예술
2017.3.18.-3.26.
서교예술실험센터 1호실

1
한 입만, 이라고.
언젠가 어렸을 때 한 번쯤 해봤을 것 같은 이 말은 이제 와서 대개 꼴사납고 남부끄러운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어쩐지 우린, 이 말을 꽤나 당당하게 했던 것 같다. 이 말의 공간은 타인을 향한 마냥의 굴욕만으로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곳에는 당신이 어쩌면 다 먹지 못할지도 모르는 것을 대신 해결해주겠다는 근심 있는 배려와, 한 입 정도뿐 지나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자존심과 뻔뻔함이 있었다. 그 한 입을 통해 만족감을 얻은 내 얼굴로, 당신은 선량한 뿌듯함에 충만했고, 나는 당신의 표정에 찌꺼기 같은 굴욕마저도 잊을 수 있었다. 당신과 나 사이에는 모종의 한 입 이상의 가치가 생성되는 듯했다. 혈액형이 무엇이냐 묻고 다른 것을 확인하고도 한 입을 내어줄 때 우리는 차이를 횡단하고 생명에 도달한 것은 아닐까. 아마도 ‘한 입만’은 그렇게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지속해오면서도 또 한 개체가 가장 최초로 실행하는 정치적・경제적 그리고 계급적인 연대였다.

2
삶이 빈곤해지자 예술은 다시 빈곤해진다. ‘산다’는 말이 ‘살아간다’가 되고 그것이 다시 ‘살아낸다’로 바뀔 때쯤, 그러니까 그렇게 조여지는 순간마다 늘 손쉽게 줄이거나 소거시킬 수 있는 것은 예술이었다. 시디를 사지 않게 되고, 가던 극장, 공연장을 줄이고 전시를 보러 가지 않게 될 때, 이윽고 예술은 공간과 거리를 잃는다. 이때 예술은 비로소 ‘생존’엔 도통 쓸모없는 것이란 것을 인정하게 될지도 모른다. 예술은 어쨌거나 잉여 같은 남은 것들의 함유물이거나 충적지라는 것. 그리고 처연해진 예술이 돌아와 공간과 거리를 찾으려고 할 때, 엄격한 세계는 예술에게 윽박질렀다. 네 쓸모를 증명하라. 쓸모없음의 함유물이자 충적지였던 것을 쓸모로 되돌리라니. 한 편의 예술들은 그동안 그래서 분주했었나 보다. 그러나 예술이 증명해야 할 것은 그것의 쓸모가 아니라 쓸모없음의 가치가 아닐까. 생존만을 얘기하고, 쓸모만을 알고 있는 세계에서 쓸모없는 것이 갖고 있는 가치가 있다는 것. 그때 쓸모에 대하여 가난한 당신이 그리고 우리가 존재할 이유 하나쯤 인정해내게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예술은 거리에 나가 ‘한 입만’을 行했다. 타액을 거친 가장 쓸모없어진 것들을 가치로 이행시키고 싶었다.

그러니 꼭 이 전시가 쓸모없기를 바란다. 여전히 쓸모에 가난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가치 있기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