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 contact

조재연 Cho Jae-yeon (b.1990, 광주)
lunaticwhale@gmail.com@peach_prodigy

미술비평가, 미술전문지 『아트인컬처』 기자. 상실의 끝장과 야만 이후에도 여전히 난감한 것을 향해 깊어지려 한다. 노여움은 애모가 되어 나설 것이라고, 변혁론은 마침내 서정으로 급진화될 것이라 의지하고서 떨며 쓰고 있다. 홍익대학교에서 미학을 공부하고 문화비평 웹진 『크리틱-칼』에서 필진으로 활동했다. 미술비평지 『GRAVITY EFFECT』 제3회 비평공모전(2019)에 1위로 당선, H아트랩 레지던시 이론가(2021)를 지냈다. 광주에서 태어나 인천에서 성장. 현재 서울에서 거주 및 활동 중이다.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학 석사 수료
동국대학교 법학 및 철학 복수 전공

2020.02. 홍익대학교 대학원 표창장 수상
2019.10. Graphite on Pink 제3회 비평공모전 1위 수상

2021.03.~ 미술전문지 아트인컬처 기자
2021.02.~2022.02. H아트랩 레지던시 이론가
2020. 비영리공간싹, 싹수 프로젝트 비평가 부문 선정
2017. 대안공간눈, 차세대 유망 문화예술비평가 비평지원 선정
2016.04.~2021.06. 웹진 크리틱-칼 필진

텍스트
2025
「퍼포머티브 사진, 공명의 프레임」(천경우 작가론, 『아트인컬처』 4월호)

「동남아의 맹주, 대안 마켓의 에너지」(아트자카르타 2024, 『아트인컬처』 4월호)
「다시 만난 세계, 문 크리스털 파워」(김지우 개인전 《히로인의 계보학》 서문)
「어우렁더우렁, 직조의 자연」(문현수 개인전 《카네이션 미학》 도록)
「미술시장, ‘붐’은 온다!」(『아트인컬처』 3월호)
「풍경, 자연의 강림」(강명희 개인전 《방문》, 『아트인컬처』 3월호)
「이경호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센터장 인터뷰」(『아트인컬처』 2월호)
「2025 PREVIEW & HOT ISSUE」(『아트인컬처』 2월호)
「사진이 회화가 되는 시간」(기획전 《서울 오후 3시》, 『아트인컬처』 1월호)
「아버지 찾아 ‘종만리’」(이현수 개인전 《종만리》, 『아트인컬처』 1월호)
「‘룸붕’의 미학, 연대하라! 공유하라!」(자카르타비엔날레, 『아트인컬처』 1월호)

2024
「숨결의 지구」(올라퍼 엘리아슨, 신안 예술섬 프로젝트, 『아트인컬처』 12월호)

「강철 대오」(오민수 작가론, 비평웹진 『퐁』)
「을지로 미술산책」(더아트프라자 <워키토키>, 『아트인컬처』 12월호)
「그래도 우리의 나날」(호상근 작가론, 오에이오에이갤러리)
「큐레이터가 OO이 될 때」(큐레이팅스쿨서울, 『아트인컬처』 10월호)
「서정이여 다시 한번」(황예지 작가론 비평웹진 『퐁』)
「블랙아트의 정체성과 현주소」(『아트인컬처』 9월호)
「무위의 미술, 사물 스스로 그린」(개리 코마린 개인전 《Landscape with a Cup》 서문)
「천사는 어디에나 있다」(신미경 개인전 《투명하고 향기 나는 천사의 날개 빛깔처럼》, 『아트인컬처』 8월호)
「미술과 함께, 스타의 또다른 삶」(『아트인컬처』 7월호)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니콜라 부리요 인터뷰」(『아트인컬처』 7월호)
「미술과 함께, 스타의 또다른 삶」(『아트인컬처』 7월호)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니콜라 부리요 인터뷰」(『아트인컬처』 7월호)
「내면의 궤적, 파토스의 추상」(최윤희 개인전 《Tuning In》, 『아트인컬처』 7월호)
「아트오앤오 대표 노재명 인터뷰」(『아트인컬처』 6월호)
「마켓을 페스터벌로」(제13회 아트부산 프리뷰, 『아트인컬처』 6월호)
「홍콩 미술시장, 찬바람 분다」(아트바젤 홍콩 리뷰, 『아트인컬처』 5월호)
「다시, 그날의 바다로…」(세월호참사 10주기전 《우리가, 바다》, 『아트인컬처』 5월호)
「아트오앤오 대표 노재명 인터뷰」(『아트인컬처』 6월호)
「마켓을 페스터벌로」(제13회 아트부산 프리뷰, 『아트인컬처』 6월호)
「홍콩 미술시장, 찬바람 분다」(아트바젤 홍콩 리뷰, 『아트인컬처』 5월호)
「청춘의 페르소나, 떨림의 순간」(이목하 작가론, 『아트인컬처』 4월호)
「은유의 리얼리즘」(최진욱 개인전 《창신동의 달》, 『아트인컬처』 4월호)
「미술상, 영예의 주인공은?」(송은미술대상, 종근당예술지상 외, 『아트인컬처』 4월호)
「‘반려 인공지능’이 온다」(이안 챙 개인전 《Thousand Lives》 『아트인컬처』 3월호)
「‘차별화’를 새 돌파구로」(화랑미술제, BAMA, 아트오앤오, 『아트인컬처』 3월호)
「미리 보는 국내외 주요 전시, 키워드 6」(『아트인컬처』 2월호)
「철의 메카, 예술도시의 꿈」(포항문화재단 《오토포이에틱 시티》, 『아트인컬처』 2월호)
「은유로서의 정거장」(대구권 미술대학 연합전시 《PLATFORM》 도록)

2023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박서영 기획전 《바흐티노프 마스크》 도록)

「절망이 환해지는 순간」(류주영 개인전 《Summer Dream,》 도록)
「조재연×엄제현의 티티카카」(비평웹진 『퐁』)
「얼굴 하냐야」(김인혜 개인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도록)
「방을 위한 엘리지」(조윤국 작가론, 화랑미술제 특별전 《ZOOM-IN》 도록)
「모래성 모래모래」(차지량 개인전 《dream pop》 누리집)

2022
「아가미」(Rebecca Ackroyd 개인전 《Fertile Ground》 도록)

「너의 나」(비정기 간행물 『Flou』)
「양방통행로」(김효진 개인전 ⟪에코의 초상⟫ 도록)
「부재중 자동응답」(박혜수 개인전 ⟪굿바이 투 러브⟫ 도록)
「우리 중에 밀고자」(김예솔 개인전 ⟪Willow⟫ 도록)
「저문 강에 삽을 씻고」(차지량 ⟨Surfing⟩ 텍스트 협업)
「여름 이상의 형이상학」(고현정 개인전 ⟪The Sweet Sunburn⟫ 서문)
「불가피하게 누군가의 적」(임동식 개인전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Gravity Effect』 7호)
「차라리 싫다고 하면 될 일」(『BGA 』 Compliation.109)
「늬가 없어도 나는 산단다」(박혜수 작가론, 『H ART LAB 결과 보고집』)
「형식, 비약의 건조물」(이여운 작가론, 『H ART LAB 결과 보고집』)

2021
「독을 차고」(안민 개인전 ⟪Conscience⟫ 도록)
「흐린 날, 미사일」(차지량 프로젝트 ⟨New Home — Stay⟩)
「금리생활자를 안락사시켜야 한다」(이현수 개인전 ⟪난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도록)
「네 입속에 내 잎」(하므음 저 『종이 속 전시』)
「생, 나는 닿지 않는 등」(정의철 개인전 ⟪Look at me now⟫ 도록)
「그다음 누구도 비웃지 않게 된다」(정희영 기획전 ⟪짐승에 이르기를⟫ 도록)
「우리의 죄는 희망」(김연재, 유지원 2인전 ⟪아포칼립스 모으기⟫ 도록)
「불을 꺼 잠에서 깨는 일」(박지형 기획전 ⟪멀고도 먼⟫, 『크리틱-칼』)
「해후의 질감」(박현 기획전 《thedesert.xyz》, 『Gravity Effect』 6호)
「가장 마지막의 결산」(안동일 개인전 《오발탄》, 『Gravity Effect』 6호)
「저녁은 어떻게 오지」(강원제 ⟪선택되지 않은 그림⟫ 도록)
「출처되는 원질」(기획전 《정보의 하늘에 가상의 그림자가 비추다》, 『월간미술』 1월호)

2020
「이 음악이 멈추어도 당신들은 춤을 춰요」(김동규 개인전 《RRRRRRRRRRR..》, 『크리틱-칼』)

「폭발」(백지훈 개인전 《Nonetype》 도록)
「우리, 지옥에서 살아요」(최수련 개인전 ⟪태평선전⟫ 도록)
「미적 유기체로 아버지」(안부 개인전 ⟪잘-못-하다⟫ 도록)
「폐허의 연인」(허단비 개인전 ⟪영혼의 발돋움⟫ 도록)
「몇 시인가요」(『BGA 』 Compliation.41)
「생쥐와 인간은 뾰족한 수가 없다」(유태영 음악 앨범 《그날 문을 열다》, 『크리틱-칼』)
「기억을 딛고 얻은 망각」(남지연 개인전 ⟪Stroy(story)story))⟫ 도록)
「얼음은 숯」(『BGA 』 Compliation.31)
「실수가 개와 늑대의 시간」(김학량 개인전 ⟪벽화⟫ 도록)
「블랙홀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이의록 개인전 《Merry-Go-Round》,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자- 변신이다」(임동승 개인전 《TRANS》, 『월간미술』 5월호)
「0章」(샌정 《VERY ART》, 『퍼블릭 아트』 5월호)
「쥐면 부서질까 불면 날아갈까」(정원석 개인전 《할아버지 시계》,
「바다 알러지 잠수함」(김학량 개인전 ⟪바다와 나비⟫ 도록)
「주신 게 허무라니요」(서찬석 개인전 《오류를 지나》, 『크리틱-칼』)
「시계 보는 법」(존 버거 『몇 시인가요?』, 『월간미술』 4월호)
「시계판에 총」(구나 개인전 ⟪너와나와너와나⟫ 도록)

2019
「사뭇 지속하는 다툼」(송가현 기획전 ⟪이스트빌리지 뉴욕⟫ 『Gravity Effect』 5호)
「제가끔 서 있어도 우리들은」(멀티탭 기획전 《감각을 연결하기》, 『퍼블릭 아트』 12월호)
「영원히 영원을 포기하지 않기」(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크리틱-칼』)
「폭력이 어쨌다구」(정희영 기획전 《링, 동그라미를 가리키고 사각을 뜻하는》 도록)
「아니라고 하는데 괜찮다고 말하네」(자크 랑시에르 『아이스테시스』, 『크리틱-칼』)
「세계여 이것은 당신을 위한 종말2」(손배영 개인전 《사소한 완강함을 위한 쇼룸》, 『크리틱-칼』)

2018
「세계여 이것은 당신을 위한 종말1」(손배영 개인전 《사소한 완강함을 위한 쇼룸》 서문)
「어떤 가능성에 대한 끈질긴 사랑」(하므음 개인전 《둘, 셋의 공통감각》, 『크리틱-칼』)

2017
「환상은 삶을 짓는 자 편에」(백은하 개인전 《기억의 활용》, 대안공간눈 도록)
「앵무새가 앵무새가 아닐 때」(진영 개인전 《happy island》, 대안공간눈 도록)
「새벽까지 심장 타던 무늬」(윤지현 개인전 《Emotional Lumps》 대안공간눈 도록)
「유감하는 미학_파레르곤과 이코노미메시스 이래로 칸트 ‘미학’ 읽기」(『크리틱-칼』)

2016
「가봐, 빈 밤에 기억이 와있어」(단식광대 음악 앨범 《새벽달》, 『크리틱-칼』)

「영원히 예술을 포기하지 않기」(테오도어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크리틱-칼』)
「난민을 샘플링」(정림건축문화재단 기획전 《New Shelters》, 『크리틱-칼』)
「이별과 실연이 알고 있는 혁명」(다자이 오사무 『사양(斜陽)』, 『크리틱-칼』)
「메리 크리스마스, 유다」(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유다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 『크리틱-칼』)
「예술이 상실을 대하는 태도」(이준익 영화 〈동주〉, 『크리틱-칼』)
「전락(轉落)의 거리」(오승욱 영화 〈무뢰한〉, 『크리틱-칼』)

2015
「실존주의의 없는 자리」(『크리틱-칼』)
「사랑에 응답」(자크 오디아르 영화 〈디판〉, 『크리틱-칼』)
「사건과 사고」(댄 포글먼 영화 〈대니 콜린스〉, 『크리틱-칼』)

이벤트
이샛별, 정지윤 2인전 《과몰입 주의》 아티스트 토크(11. 30 아줄레주갤러리)
강의 「서울 미술산책, 끝나고 어디갈까?」(2024. 10. 12.~11. 2. 서울시민예술학교 용산)
게리 코마린 개인전 《Landscape with a Cup》 연계 강의(2024. 10. 2. 아줄레주갤러리)
강의 「아는 만큼 재미있는 미술」(2024. 9. 4.~9. 14., 12. 11. 서울시민예술학교 양천)
강의 「서울 미술산책, 어디서 어떻게 감상할까?」(2024. 5. 29.~6. 26. 서울시민예술학교 용산)
최수인 아티스트 토크(2024. 4. 21. 아트 오앤오)

2023 레드 어워드 선정위원장(11. 13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
강의 「우리는 어디서 예술을 감상할 수 있을까」(2023.10. 18.~11. 8. 서울시민예술학교 용산)
조윤국 아티스트 토크(2023.4.13. 화랑미술제)
기획전 《대발생》 전문가 라운드테이블(2023.1. 14. 은평문화예술회관)
차지량 개인전 《dream pop》 아티스트 토크 「‘꿈/깸’과 ‘중얼중얼’」(2022. 12. 22. d/p)
김예솔 개인전 《Willow》 아티스트 토크(2022.  7. 16. OCI미술관)
강의 「아토포스: 비명과 기도」(2022. 7. 10. 사가)
레지던시 오픈 스튜디오 토크 「변명과 비명들」(2021. 12. 19. H아트랩)
정희영 기획전 《링, 동그라미를 가리키고 사각을 뜻하는》 라운드 테이블(2019. 10. 26. 인사미술공간)

기획
《능수능란한 관종》(2024. 3. 16.~7. 7. 부산현대미술관) 참여(컬처 코뮌)
《한입-만行 프로젝트》(2020. 10. 16.~12. 27. 수창청춘맨숀) 참여
《취향은 존재의 집》, 《마담의 주방》(2017. 12. 7.~2018. 1. 14. 대안공간눈) 기획
《혁명가로서의 예술가》(2017. 11. 7.~11. 17. 경의선공유지미술관 모라) 기획
《한입만-行_구걸하는 예술》(2017. 3. 18.~26. 서교예술실험센터)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