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은 존재의 집》 2017.12.07.-2018.01.14.

취향은 존재의 집
2017.12. 07. ~ 2018. 01. 14
대안공간 눈

“이해”란 해석학적으로 공통-보편이라고 할 만한-의 지평에서 일어나는 일. 반대로 “취향”은 지극히 개인적이기만한 일들을 가리킨다. 그래서 취향존중, 줄여서 “취존”이란 낱말의 쓰임새는 그 개인적이기만한 일을 이해해달라는 요청임에도, 그자체로 그것은 모순을 갖게되는 셈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것, 즉 취향과 공통의 지평이라 칭해지는 이해는 서로를 늘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취존”은 그것이 내뱉어질 때마다 상대의 안으로 들어가기는커녕 오히려 상대를 쉽게도 방치해왔던 것이 아닐까. 그것이 취향이라면 더 이상 상대를 이해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이 되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취향은 그래서 존재가 가장 혼자여야 하는 시간이며, 아무도 같이 있을 수 없는 때이다. 그러나 여전히 누군가를 “이해”하는 일이 진정으로 가능하다고 믿는 이라면, 그리고 그 믿음에 헌신하고자 한다면, 그는 가장 개인적이기만한 일들에서도 공통의 지평을 찾는 일에 종사해야만 한다. 기획된 전시들이 모두 경유하는 지점은 그렇게 취향에서 공통의 지평을 발견하는 데 있다. 그리고 가장 개인적인 것을 공통의 지평에 위치시키는 것은 가장 고유한 예술의 몫이다. “저 그림은 아름답다.”라고 일컬어질 때, 그것은 내게만 아름답다는 말로 풀이되지 않는다. “아름답다”라는 말이 ‘판단’임에도 표현을한 예술가의 취향도, 받아들이는 ‘나’의 취향도 그것이 모두에게 아름답길 염원한다. 사실, 누군가를 “이해”하는 일이 진정으로 가능하다고 가장 오랜 믿음을 가지고 헌신했던 것은 예술일지도 모른다.

취향은 가장 개인적인 일이다. 그러나 그 장소는 늘 사회에 놓여져있고, 그것의 문을 연다면 그 사회 그러니까 공통의 지평과 마주할 수 있다. 가장 혼자여야 하는 시간이 있다. 아무도 같이 있을 수 없는 ‘나’일 때가 있다. 전시는 그 문을 열고 이음을 만들고자 한다.

그 순간에도. 함께 있는 우리를 보고 싶다.

《혁명가로서의 예술가》 2017.11. 07.-11. 17.

혁명가로서의 예술가
2017.11. 07. ~ 11. 17.
경의선공유지미술관 MoRA

1
참 예쁘다,
지금만큼 많은 시, 소설, 전시 그리고 공연이 어디서나 흘러 넘치던 시절이 있었을까. 그리고 상품마저 예술이기를 소망해 시장이 갤러리가 될 때,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 아름다움이 창궐하는 시대가 된다. 이미 충분한 ‘시’가 쓰여지고 충분한 노래가 불러진 그 후에도, ‘다음’의 시가 쓰이고 ‘다음’의 노래가 불린다. 여전히 ‘다음’이 있는 이유는 아름다움이 넘쳐나듯이 화폐가 유례없이 흐르는 까닭이거나, 아름다움이 창궐하는 세계가 곧 아름다운 세계는 아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은 예술의 몫이 아니고, ‘세계’라는 낱말은 지금의 예술이 기억할 단어가 되지 못한다. 그러나 ‘미적인 생산을 하는 것’이 ‘세계의 미(美)에 헌신하는 것’과 언제나 다르지 않았던 세기를 소환함은, 끝났다고 생각한 결산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제 예술은 세계를 상대로 좀처럼 거스르지 않는다고 생각했을 때, “블랙리스트”의 존재는 여전히 ‘세계’는 예술을 상대로 대립하고 있었음을 상기시켜 주었다. 예술은 다시 전선(戰線)에 선채로 결산을 시도한다.

2
존재하는 것들의 ‘세계’를 응시하는 것보다, 존재자에 헌신해야 한다는 주장은 숭고함마저 느껴진다. ‘세계’라는 낱말을 사용하는 것과 세계 이후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또다시 전체주의로 전락할 수 있으니, 전체 같은 이야기는 하지말고 애틋한 ‘부분’들을 돌아보자는 것. 지난 세기, 세계 전체를 응시하는 정치의 모든 이름이 ‘혁명’었다면 아마도 혁명이란 단어는 그 끄트머리에 폐기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혁명의 폐기는 곧 세계 자체를 문제시 하거나 부정할 수 없는 공허한 정치만을 남긴다. 세계는 매일 매일 변화한다. 바뀌지 않는 것은 단 하나, 세계 그 자체다. 이제는 돌아와 전선 앞에 선 예술은 ‘세계’와 ’혁명’을 발음할 줄 모르는 정치 대신에 다시 혁명을 지껄여야 한다. 예술가는 투쟁을 각오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투쟁은 응당 작업실을 초과하는 활동이 된다. 시위, 노조, 정당, 직업 정치인 그리고 혁명가. 예술의 고유한 몫은 가능한 차선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불가능한 최선을 지향하는 데 있으므로, 넘쳐나는 아름다움에 침전하는 것 대신 세계와 투쟁하기로 한 예술가는 예술의 최대치로서 작업을 초과해 직접 정치에 그리고 마침내 혁명에 참여해야만 한다.

소환된 작가들은 모두 그 최대치에 도달했던 이들이다. 그들의 투쟁은 예술의 외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예술이 예술의 몫을 다하기 위해서, 그 몫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세계와의 투쟁은 작가의 작업과 반드시 동연이었다.

경의선공유지 미술관 모라MoRA

동지들과 경의선공유지에 미술관을 개관하였습니다. 이름은 “모라”(MoRA, The Museum of R Art)입니다. “모라”는 실험적인 기획과 경의선공유지의 의미 안에서, 시민들이 전유할 수 있는 대안 공간으로 운영될 것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예술이 혁명을 발음할 수 있다면, “모라”는 그것의 진채 혹은 ‘진지’가 됩니다. 위치는 공덕역 1번 출구에서 경의선 숲길을 향하면 먼저 도착하게 되는 경의선공유지 늘장을 만나게 됩니다. 늘장을 따라 걷다보면 오른편에서 모라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소개문) 모라 페이스북 페이지

경의선공유지미술관 모라는 공유 정신의 토대 위에서 시민과 예술가가 함께 새로운 예술을 실험하는 대안예술공간입니다. 모라는 예술을 통해 세계를 바꾸고자 하는 모두에게 열린 공간입니다. 모라는 경력과 학력, 무엇보다 능력과 관계없이 예술가임을 선언하는 모든 시민과 함께합니다. 모라는 노동하는 예술가, 투쟁하는 예술가와 함께합니다.

《한입만-行: 구걸하는 예술》 2017.3.18.-3.26.

한입만-行_구걸하는 예술
2017.3.18.-3.26.
서교예술실험센터 1호실

1
한 입만, 이라고.
언젠가 어렸을 때 한 번쯤 해봤을 것 같은 이 말은 이제 와서 대개 꼴사납고 남부끄러운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어쩐지 우린, 이 말을 꽤나 당당하게 했던 것 같다. 이 말의 공간은 타인을 향한 마냥의 굴욕만으로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곳에는 당신이 어쩌면 다 먹지 못할지도 모르는 것을 대신 해결해주겠다는 근심 있는 배려와, 한 입 정도뿐 지나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자존심과 뻔뻔함이 있었다. 그 한 입을 통해 만족감을 얻은 내 얼굴로, 당신은 선량한 뿌듯함에 충만했고, 나는 당신의 표정에 찌꺼기 같은 굴욕마저도 잊을 수 있었다. 당신과 나 사이에는 모종의 한 입 이상의 가치가 생성되는 듯했다. 혈액형이 무엇이냐 묻고 다른 것을 확인하고도 한 입을 내어줄 때 우리는 차이를 횡단하고 생명에 도달한 것은 아닐까. 아마도 ‘한 입만’은 그렇게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지속해오면서도 또 한 개체가 가장 최초로 실행하는 정치적・경제적 그리고 계급적인 연대였다.

2
삶이 빈곤해지자 예술은 다시 빈곤해진다. ‘산다’는 말이 ‘살아간다’가 되고 그것이 다시 ‘살아낸다’로 바뀔 때쯤, 그러니까 그렇게 조여지는 순간마다 늘 손쉽게 줄이거나 소거시킬 수 있는 것은 예술이었다. 시디를 사지 않게 되고, 가던 극장, 공연장을 줄이고 전시를 보러 가지 않게 될 때, 이윽고 예술은 공간과 거리를 잃는다. 이때 예술은 비로소 ‘생존’엔 도통 쓸모없는 것이란 것을 인정하게 될지도 모른다. 예술은 어쨌거나 잉여 같은 남은 것들의 함유물이거나 충적지라는 것. 그리고 처연해진 예술이 돌아와 공간과 거리를 찾으려고 할 때, 엄격한 세계는 예술에게 윽박질렀다. 네 쓸모를 증명하라. 쓸모없음의 함유물이자 충적지였던 것을 쓸모로 되돌리라니. 한 편의 예술들은 그동안 그래서 분주했었나 보다. 그러나 예술이 증명해야 할 것은 그것의 쓸모가 아니라 쓸모없음의 가치가 아닐까. 생존만을 얘기하고, 쓸모만을 알고 있는 세계에서 쓸모없는 것이 갖고 있는 가치가 있다는 것. 그때 쓸모에 대하여 가난한 당신이 그리고 우리가 존재할 이유 하나쯤 인정해내게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예술은 거리에 나가 ‘한 입만’을 行했다. 타액을 거친 가장 쓸모없어진 것들을 가치로 이행시키고 싶었다.

그러니 꼭 이 전시가 쓸모없기를 바란다. 여전히 쓸모에 가난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가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