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대표 컬렉터 노재명. 그가 론칭한 아트페어 아트오앤오(4. 19~21 세택)가 미술계의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15개국에서 갤러리 36곳이 참여하고, 미디어아트와 컬렉션을 주제로 한 이색적인 특별전을 기획했다. 노재명은 아트오앤오의 정체성으로 ‘유일무이(One and Only)’를 제시한다. 국내 아트페어에서 보기 힘든 해외 갤러리 라인업과 국내 신진 화랑, 젊은 아티스트를 선보이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고 열사흘 뒤, 단원고등학교를 마주한 경기도미술관에는 합동 분향소가 설치됐다. 이후 4년 동안 91만 명이 넘는 시민이 이곳을 찾아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과 아픔을 나눴다. 경기도미술관에선 2주기와 3주기, 7주기에 맞춰 추념전이 열렸고, 미술관은 애도의 공간을 넘어 예술과 사회의 연대 장으로서 공동체의 의미를 질문했다. 그리고 지난달 10주기를 맞아 네 번째 추념전 《우리가, 바다》(4. 12~7. 14)가 열렸다.
상반기 미술시장을 대표하는 아트페어 아트부산(5. 9~12)이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다. 13회를 맞은 올해 행사에는 20개국 갤러리 129곳이 참여했다. 국내에선 가나아트 국제갤러리 리안갤러리 조현화랑 학고재 PKM갤러리, 해외에서는 소시에테 야리라거갤러리 에프레미디스 페레스프로젝트 탕컨템포러리아트 화이트스톤갤러리 등이 출사표를 던졌다. 유동성 악화와 부동산 악재의 영향으로 아트마켓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 이번 실적은 키아프와 프리즈 서울이 열리는 하반기 시장의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온 미술계의 관심이 모였다. 이번 아트부산의 평가는 뚜렷하게 엇갈렸다. 시장 관계자 사이에선 갤러리 수가 줄고 판매액이 감소한 것에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왔고, 컬렉터와 관람객층은 신진 작가를 위한 자리가 늘고, 뮤지엄급 퀄리티의 특별전, 관람 환경을 개선했다는 점에 좋은 점수를 줬다.
최진욱은 개인의 경험을 기록한 풍경으로 동시대 사회를 담는다. 감각적인 색감과 은유적인 이미지로 익숙한 일상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현실에 밀착한 문제의식을 회화적 정치성으로 풀어왔다. 그의 개인전 《창신동의 달》(3. 14~4. 13)이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창신동, 인왕산, 동해, 작업실 등의 정경을 담은 그림 19점을 선보였다. 개별적인 건물, 장소, 오브제를 하나의 장면으로 연결해 미시사와 거시사의 연속성을 드러냈다.
이목하는 희열과 좌절이 뒤엉킨 동시대 청춘의 초상을 그린다. 소셜 미디어에서 우연히 발견한, 이름도 상황도 모르는 사진에 담긴 서사와 감정을 포착해 화폭에 펼친다. 카메라를 당당하게 응시하거나 활짝 웃는 익명의 인물들. 행동만 보면 이들은 그저 행복해 보인다. 그러나 작가의 회화는 화면 너머에 도사린 젊음의 불안을 동시에 머금는다. 청년 세대에게 인스타그램은 일상이 되었다. 그러나 일상이 곧 인스타그램인 것은 아니다. SNS에 포스팅된 행복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 연출의 결과다. 이목하가 파고드는 것은 이러한 연출이 차마 감추지 못했던 내면의 틈이다. 디스플레이의 선명한 RGB는 겹겹이 쌓이는 유채를 통해 빛이 바래고, 조리개가 담지 못한 그늘 속 어둠은 붓 자국만이 횡행한 추상으로 남는다. 혼탁한 색감은 화면의 과장된 분위기를 가라앉히고 인물의 솔직한 정서를 자아내는 장치다. 침침한 조명 아래, 살결과 주름은 밝은 빛에 있을 때보다 또렷해진다. 편집이 감추고자 했던 신체의 ‘흠집’은 평평한 프레임 밖 인물의 이면을 짚어낸다. 희열의 얼굴 그 사이사이 군티에 청춘의 비애가 드러난다. 한편 선분과 색 면으로 추상화된 어둠은 개인을 소외시키는 사회를 은유한다. 화면에서 그늘은 피사체를 삼키듯 다가온다. 궤적이 온전히 살아있는 브러시 스트로크는 인물의 들숨과 날숨의 흔적의 비유다. 호흡을 따라 청춘은 사회의 부조리를 들이쉬며 받아들이거나 내뱉으며 맞선다. 행복과 불안, 수용과 저항, 그 어느 곳에도 뿌리내리지 못하고 흔들리는 모습을 통해 이목하는 젊음의 의미를 탐구한다. 여기에 작가는 “진정한 아름다움은 이중성에 있다”라고 덧붙였다. 청춘은 모순적이다. 그래서 아름답다.
오는 4월, 2024년 국내 미술시장의 향방을 판가름할 세 아트페어가 열린다. 화랑미술제(4. 3~7 코엑스),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4. 11~14 벡스코, 이하 BAMA), 아트오앤오(4. 19~21 세택)가 그 주인공이다. 올해 역시 불황이 이어지리라는 전망 아래 각 아트페어는 아이덴티티 강화로 돌파구를 찾는다. 도약의 계절. 화랑미술제, BAMA, 아트오앤오는 과연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을까.
이안 쳉 〈Thousand Lives〉 라이브 시뮬레이션 가변크기 2023 글래드스톤갤러리 서울
이안 쳉(Ian Che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가상 세계를 창조한다. ‘라이브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관객의 움직임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AI가 내러티브를 직접 연출하는 미디어아트를 선보여 왔다. 그가 개인전 <Thousand Lives>(2. 23~4. 13 글래드스톤갤러리 서울)를 열었다. 사람의 사고방식을 학습, 재현하는 AI 거북이 ‘사우전드’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묻는다.
일상의 소소한 풍경을 채집하는 화가 호상근. 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호상근재현소’를 통해 모집한 타인의 이야기 등 보통의 삶에서 유난히 반짝이는 순간을 생생하게 재현해 왔다. 그가 개인전 《호상근 표류기 2023: 새, 카트, 기후》(11. 10~12. 23 오에이오에이갤러리)를 열고 회화 29점을 공개했다. 베를린에 거주하는 작가가 이방인의 눈으로 거리에 숨은 이질적 존재를 포착했다.
최수인은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감정을 자연에 녹여 풍경화를 그린다. 그가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개인전 《He Gives Me Butterflies. 사랑》(9. 1~10. 7)을 열었다. 사랑을 나누는 관계가 빚는 진실과 거짓을 주제로 신작 25점을 선보인다. 작가는 작업 초기부터 관계에서 드러난 것과 감춰진 것의 긴장을 형상화해 왔다. 이번 전시가 기존과 다른 점이 있다면 관계를 ‘사랑’으로 구체화했다는 것. 이전까지 특정한 상황을 명시하지 않고 주체와 타자의 보편적인 불화를 간접적으로 비췄다면, 신작에서는 포옹, 입맞춤과 같은 애정 행위로 사랑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미술계를 들썩였던 글로벌 아트페어 키아프 서울(이하 키아프)과 프리즈 서울(이하 프리즈)이 두 번째 동행을 마무리했다. 코엑스에서 9월 6일 개막한 두 행사는 키아프가 10일까지 닷새간, 프리즈가 9일까지 나흘간 일정을 진행했다. 키아프는 8만 명, 프리즈는 7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해 작년에 이어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특히 키아프는 작년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키아프와 프리즈의 동시 개최가 국내 미술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메기 역할을 할지, 생태계를 파괴하는 황소개구리가 될지 여전히 논란인 상황에서 방문객 증가는 유의미한 변화다. 행사 종료에 맞춰 매출액을 공개해 왔던 키아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입을 닫았다. 프리즈의 판매 규모는 아예 비공개가 원칙이다. 관계자들은 양쪽의 판매 성과 모두 작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살짝 밑돌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해 프리즈 매출액은 6,000억~8,000억 원대, 키아프는 그 10분의 1 정도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