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과 함께, 스타의 또다른 삶

구혜선 〈무제〉 혼합재료 25×25cm 2017

‘아트테이너’의 전성시대인가. 그 열풍이 미술계에도 불고 있다. 연예인이 단순한 취미 활동을 넘어 아티스트로서 전시를 개최하거나, 컬렉터로서 작품을 구매하고 예술가를 후원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미술계를 넘어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스타의 대중적 파급력 때문이다. 조영남은 1970년대부터 일찍이 작가 활동을 시작한 아트테이너의 원류이고, 그 계보를 나얼 박신양 송민호 이혜영 하지원 하정우 등이 잇는 중이다. 컬렉팅의 경우 소장품을 공개한 몇 엔터테이너를 제외하면 그 규모가 잘 드러나지 않는 편이지만, 창작보다 문턱이 낮은 만큼 알려진 숫자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고미술 컬렉션으로 유명한 강부자를 비롯해 김용건 고소영 RM 탑 지드래곤 유아인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특히 탑과 지드래곤은 세계적인 미술잡지 『아트뉴스』(2019)에서, RM은 『아트넷뉴스』(2022)에서 주목할 만한 글로벌 컬렉터로 선정되기도 했다. 해외로 눈을 돌리면 사례는 훨씬 더 늘어난다. 대표적인 인물만 열거하면 폴 매카트니, 실베스타 스텔론, 샤론 스톤, 짐 캐리 등이 작가로서 왕성하게 활동해 왔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 안젤리나 졸리는 전 세계 주요 아트페어를 전세기로 찾아다닐 만큼 ‘큰손 컬렉터’이다.

미술과 함께, 스타의 또다른 삶 더보기

노재명: 아트오앤오 대표

노재명. 1990년생. 아트오앤오 대표.

MZ세대 대표 컬렉터 노재명. 그가 론칭한 아트페어 아트오앤오(4. 19~21 세택)가 미술계의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15개국에서 갤러리 36곳이 참여하고, 미디어아트와 컬렉션을 주제로 한 이색적인 특별전을 기획했다. 노재명은 아트오앤오의 정체성으로 ‘유일무이(One and Only)’를 제시한다. 국내 아트페어에서 보기 힘든 해외 갤러리 라인업과 국내 신진 화랑, 젊은 아티스트를 선보이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

노재명: 아트오앤오 대표 더보기

아트부산: 마켓을 ‘페스티벌’로!

제13회 아트부산, 상반기 최대 미술장터의 생존 전략

아트부산(2024) 전경

상반기 미술시장을 대표하는 아트페어 아트부산(5. 9~12)이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다. 13회를 맞은 올해 행사에는 20개국 갤러리 129곳이 참여했다. 국내에선 가나아트 국제갤러리 리안갤러리 조현화랑 학고재 PKM갤러리, 해외에서는 소시에테 야리라거갤러리 에프레미디스 페레스프로젝트 탕컨템포러리아트 화이트스톤갤러리 등이 출사표를 던졌다. 유동성 악화와 부동산 악재의 영향으로 아트마켓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 이번 실적은 키아프와 프리즈 서울이 열리는 하반기 시장의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온 미술계의 관심이 모였다. 이번 아트부산의 평가는 뚜렷하게 엇갈렸다. 시장 관계자 사이에선 갤러리 수가 줄고 판매액이 감소한 것에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왔고, 컬렉터와 관람객층은 신진 작가를 위한 자리가 늘고, 뮤지엄급 퀄리티의 특별전, 관람 환경을 개선했다는 점에 좋은 점수를 줬다.

아트부산: 마켓을 ‘페스티벌’로! 더보기

화랑미술제, 아트부산, 아트오앤오: ‘차별화’를 새 돌파구로

4월 화랑미술제, 부산국제화랑미술제, 아트오앤오 개막 프리뷰

화랑미술제(2023) 전경

오는 4월, 2024년 국내 미술시장의 향방을 판가름할 세 아트페어가 열린다. 화랑미술제(4. 3~7 코엑스),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4. 11~14 벡스코, 이하 BAMA), 아트오앤오(4. 19~21 세택)가 그 주인공이다. 올해 역시 불황이 이어지리라는 전망 아래 각 아트페어는 아이덴티티 강화로 돌파구를 찾는다. 도약의 계절. 화랑미술제, BAMA, 아트오앤오는 과연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을까.

화랑미술제, 아트부산, 아트오앤오: ‘차별화’를 새 돌파구로 더보기

Kiaf × FRIEZE REMATCH

키아프 & 프리즈 서울 2023 리뷰

요시토모 나라 ⟨Hey! Ho! Let’s Go!⟩ 수집한 사인보드에 아크릴릭 160×171cm 2011_키아프 오페라갤러리 출품작.

미술계를 들썩였던 글로벌 아트페어 키아프 서울(이하 키아프)과 프리즈 서울(이하 프리즈)이 두 번째 동행을 마무리했다. 코엑스에서 9월 6일 개막한 두 행사는 키아프가 10일까지 닷새간, 프리즈가 9일까지 나흘간 일정을 진행했다. 키아프는 8만 명, 프리즈는 7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해 작년에 이어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특히 키아프는 작년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키아프와 프리즈의 동시 개최가 국내 미술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메기 역할을 할지, 생태계를 파괴하는 황소개구리가 될지 여전히 논란인 상황에서 방문객 증가는 유의미한 변화다. 행사 종료에 맞춰 매출액을 공개해 왔던 키아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입을 닫았다. 프리즈의 판매 규모는 아예 비공개가 원칙이다. 관계자들은 양쪽의 판매 성과 모두 작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살짝 밑돌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해 프리즈 매출액은 6,000억~8,000억 원대, 키아프는 그 10분의 1 정도로 추산된다.

Kiaf × FRIEZE REMATCH 더보기

Kiaf 국내 최고 마켓 아시아로, 세계로!

키아프 서울 2022 하이라이트

2018년 키아프 전경

키아프는 한국화랑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국제 아트페어다. 한국 미술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아트씬과 교류해 미술시장을 활성화할 목표로 2002년 출범했다. 키아프 서울의 전신은 1996년 개최된 서울국제미술제다. 당시 한국은 외국 화랑의 국내 진출을 골자로 한 미술시장 전면 개방을 1년 앞두고 있었다. 이에 미술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대외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서울국제미술제가 선제적으로 마련됐다. 이후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을 맞아 키아프로 행사를 확장해 부산 벡스코에서 론칭했다. 2회부터는 개최 장소를 서울로 옮겨 현재까지 코엑스에서 진행하고 있다. 키아프가 출범 초기에 봉착한 과제는 ‘국제화’였다. 글로벌 아트페어의 형식을 내세운 만큼 해외 갤러리 유치가 시급했다. 이를 위해선 국내 마켓이 해외 갤러리가 진입할 만큼 시장성을 갖추고 있는지 입증해야 했다. 키아프는 해외 활동이 활발한 작가를 적극 내세웠다. 1990년대는 백남준 이불 고영훈 김홍주 서도호 조덕현 김수자 이상남 등이 국제적으로 각광받는 시기였고, 함섭 전광영 정광호 함진 김동유 홍경택 등이 국제 아트페어와 경매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중이었다. 블루칩 작가의 출전으로 해외 갤러리에게 키아프와 한국 미술시장의 잠재력을 확인시켰다.

Kiaf 국내 최고 마켓 아시아로, 세계로! 더보기